난중일기
정유일기 1597년
10월 14일 맑음.
저녁에 어떤 사람이 천안에서 와서 집안 편지를 전하는데,
아직 봉함을 열기도 전에 뼈와 살이 먼저 떨리고 마음이 조급해지고 어지러웠다.
대충 겉봉을 펴서 열이 쓴 글씨를 보니,
겉면에 통곡 두글자가 쓰여 있었다.
마음으로 면이 전사했음을 알게 되어 나도 모르게 간담이 떨어져 목 놓아 통곡하였다.
하늘이 어찌 이처럼 인자하지 못한 것인가.
내가 죽고 네가 사는 것이 당연한 이치이거늘,
네가 죽고 내가 살았으니, 어지하여 이치에 어긋난 것인가.
천지가 어둡고 밝은 해조차도 빛이 바랬구나.
슬프다. 내 아들아! 나늘 버리고 어디로 간 것이냐.
영특한 기질이 남달라서 하늘이 세상에 남겨 두지 않는 것인가.
내가 지은 죄 때문에 화가 네 몸에 미친 것이냐.
이제 내가 세상에서 끝내 누구를 의지할 것인가.
너를 따라 죽어 지하에서 함께 지내고 함께 울고 싶건만,
네 형, 네 누이, 네 어미도 역시 의지할 곳이 없어 아직은 참고 연명한다마는
마음이 죽고 형상만 남은 채 부르짖어 통곡할 따름이다.
출처: 난중일기 유적편, 이순신 지음, 노승석 옮김, 도서출판 여해